북한불교 백서
조선불교도연맹을 해부하다
서 명: 북한불교 백서 – 조선불교도연맹을 해부하다
저 자: 중화 법타
출판사: 조계종출판사
정 가: 18,000원
책소개
해방 전후부터의 북한 종교 역사와 정책, 종교 단체의 현황을 짚어보고, 북한 인민들이 체감하는 종교 현실 등에 대해서 살핀 결과물이다. 북한은 전통적인 종교 계보에 의해서라기보다는 국가 차원에서 종교 정책이 행해지고 종교 단체가 결성되어 활동한다.
북한불교는 개인이 아닌 집단에 의해 신앙 활동을 하는 정치적 종교활동체이다. 그러한 사회주의 체제하의 북한에서 북한불교의 유일한 종단이자 종무기관은 ‘조선불교도연맹’이다. 해방 전후, 진보적·사회주의적 승려들은 1948년 김구, 김규식 박사 일행을 따라 김일성이 제창한 ‘전조선 제정당 사회단체 연석회의’에 참여했다.
그중 일부 승려는 북한에 잔류하여 ‘북조선불교도연맹’ 결성에 주요 역할을 하였고, 오늘의 북한 ‘조선불교도연맹’의 원조가 되었다. ‘조선불교도연맹 중앙위원회’는 북한 전체를 관장하며 종교 단체이자 사회단체로서 통일운동의 역할을 맡고 있다. 북한불교를 이해하는 데 조선불교도연맹의 조직과 역할을 재조명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앞으로 남북한의 종교 교류를 정상화하고, 북한 종교에 대한 연구들을 풍부하게 만들며, 향후 이 같은 연구들로 사회주의 체제와 종교가 공존할 수 있음을 밝히는 것, 또한 이를 북한에 제공하여 종교 활동이 자유롭게 자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우리가 평화통일을 이루기 위해 반드시 실현해야 할 과제라고 법타 스님은 말한다.
목차
머리말 4
제1장 서론 15
제1절 연구의 목적 16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3
1. 연구의 범위 23
2. 연구의 방법 25
제2장 북한의 종교관과 종교 정책 27
제1절 사회주의와 종교 31
제2절 북한의 종교 역사 36
1. 해방 전후의 북한 종교(1945년 8월 15일 광복~1950년 한국전쟁 이전) 36
2. 한국전쟁 시기의 북한 종교(1950년 6월 25일~1953년 7월 27일 휴전) 41
3. 주체사상 확립 시기의 북한 종교(한국전쟁 이후~1970년대 초반) 44
4. 통일전선 시기의 북한 종교(7·4 남북공동성명~1990년대 초반) 49
5. 교류 모색기의 북한 종교(1990년대) 57
6. 남북 교류 시기의 북한 종교(2000년대 이후) 62
제3절 북한 종교 정책의 변화 72
1. 북한 법률에 나타난 종교 정책의 변화 73
2. 북한 최고지도자의 종교관과 사찰 현지 지도 78
3. 북한 중요 사전의 종교 용어 정의의 변화 94
제4절 북한 종교 단체의 현황과 북한 인민들의 종교적 심성 109
1. 북한 종교 단체의 현황 109
2. 북한 인민의 종교적 신앙 가능성 116
제3장 조선불교도연맹 전사(前史) 127
제1절 한국 불교계의 항일투쟁과 사회주의 승려 128
1. 조선왕조 말기 개화파의 승려들 128
2. 일제강점기의 불교계 항일투쟁과 혁신 승려들 132
3. 8·15 해방 전 사회주의 계열 승려들의 활동 147
제2절 8·15 해방과 불교계 혁신운동 160
1. 불교혁신총연맹 165
2. 전국불교도총연맹의 결성 167
3. 해방공간의 혁신 단체(불교혁신총연맹 참가 7개 단체와 혁신 단체) 169
제3절 전조선 제정당 사회단체 대표자 연석회의와 불교계 181
1. 연석회의 진행 경과 181
2. 불교계와 연석회의 189
제4절 한국전쟁과 사회주의 승려들의 활동 195
1. 한국전쟁의 상황 195
2. 한국전쟁 시 서울에서의 불교 혁신 운동 197
3. 한국전쟁 당시 불교 혁신 운동에 대한 평가 202
제4장 조선불교도연맹의 역사와 조직 211
제1절 조불련의 역사 개관 212
1. 조불련 창립 전후의 시대 상황 212
제2절 조불련 조직의 특징과 체계 217
1. 조불련의 특징 217
2. 조불련의 조직 체계와 소임자 220
3. 조불련의 문중 227
4. 조불련의 법계 제도 233
5. 조불련의 불교 교육기관 237 6. 조불련의 역경 사업 248
7. 조불련의 신도 조직 254
8. 조불련의 현존 사찰 258
제3절 조불련의 역대 주요인물 262
1. 박태화 대선사(일명 박태호, 3대 위원장) 263
2. 홍화두 대선사(고문) 267
3. 황병준 대선사(개명 전 황병대, 부위원장) 268
4. 성보 류영선 대선사(제4대 위원장) 270
5. 법봉 심상진 대선사(본명 심상련, 제5대 위원장) 272
6. 서화 정서정 대선사 273
7. 지성 강수린 대선사(6대 위원장) 277
8. 리규룡 대선사 278
9. 차금철 선사 279
10. 청운 최형민 대선사 281
11. 그 외의 조불련 주요 임원 283
12. 북한 주요 사찰의 스님들 286
13. 조불련 전국신도회 주요 임원 288
제4절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의 재일본조선불교도연맹 291
1. 재일본조선불교도연맹의 창립과 활동 291
2. 북한 지도자와 재일조불련 스님들 294
제5장 남북 불교 교류?협력과 북한불교의 지속가능성 297
제1절 남북 불교 교류?협력의 역사 298
1. 미국 로스앤젤레스 제1차 남북 및 해외동포 불교도 합동법회 300
2. 금강산 신계사의 복원 305
3. 개성 영통사의 복원과 남한 천태종 313
4. 북한 사찰 단청 지원 317
제2절 남북 불교 교류와 북한불교의 변화 322
제3절 북한 종교 변화에 대한 평가 327
1. 북한 종교 정책의 실질적 변천 과정 327
2. 북한 신종교 정책의 본격화와 종교 패러다임의 변화 338
제4절 북한불교의 지속가능성 343
1. 북한불교의 현실 343
2. 북한에서 보는 불교의 지속가능성 349
제6장 결론 361
참고 문헌 368
ABSTRACT 3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