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
집착을 끊어 공으로 인도하는 반야 지혜의 정수, 금강경
episode 1
금강경 소개
episode 2
경전 소개 & 핵심 개념
episode 3
경전이 말하는 진리
episode 4
주요 구절 해설 & 수행 방법
episode 5
삶 속에서 실천하기
episode 6
맺음말 & 청취자 참여
쉽게 배우는 금강경 – 에피소드 4: ‘무아(無我)’란 무엇인가?
이지혜: 안녕하세요! 쉽게 배우는 금강경, 저는 이지혜입니다. 오늘은 지난 시간에 이어서 금강경의 또 다른 핵심 개념인 ‘무아(無我)’에 대해 이야기 나눠보려고 해요. 스님, ‘나는 없다’는 말… 솔직히 너무 어렵고 좀 무섭기도 해요.
묘광스님: 맞아요. 많은 사람들이 처음 ‘무아’라는 말을 들으면 당황하죠. ‘내가 없다고?’ 말이 안 되는 것 같기도 하고요. 하지만 ‘무아’는 우리 존재를 부정하자는 말이 아니라, ‘고정된 나’는 없다는 뜻이에요.
이지혜: 그럼, ‘나’는 있는 건가요 없는 건가요? 헷갈려요!
묘광스님: 좋은 질문이에요. 불교에서 말하는 ‘나’는 계속 변하고 구성되는 개념이에요. 이름, 성격, 취향, 몸—all 계속 변하잖아요? 그런데도 우리는 그 모든 걸 하나로 묶어서 ‘나’라고 착각하죠. 무아는 그 착각을 깨는 지혜입니다.
이지혜: 그러니까, ‘나는 변하지 않는다’는 착각을 버리라는 거군요?
묘광스님: 네. 예를 들어, 내가 과거에 실수한 적이 있다고 해서 ‘나는 못난 사람이야’라고 계속 자책하죠. 그런데 그 실수는 과거의 나고, 지금의 나는 그때와 다른 사람이에요. 무아의 가르침은 ‘나는 항상 변한다, 그래서 괜찮다’는 위로를 줍니다.
이지혜: 오히려 희망이 되는 말이네요. 과거에 묶이지 않아도 되는 거니까요.
묘광스님: 맞아요. 무아는 허무가 아니라 자유예요. ‘내가 이래야만 해’라는 틀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해주죠.
이지혜: 근데 한편으론, ‘내가 없으면 책임도 없어지는 거 아닌가요?’ 라는 생각도 드는데요.
묘광스님: 좋은 지적이에요. 무아는 책임을 회피하자는 게 아니라, 진짜 자기를 알아가는 과정이에요. 나의 말과 행동이 어떤 영향을 주는지 깊이 자각하는 상태죠. 무아는 모든 관계 속에서 ‘나’를 더 섬세하게 바라보게 해주는 지혜입니다.
이지혜: 그러면 무아는 인간관계에도 도움이 되겠네요?
묘광스님: 물론이죠. 우리가 다투는 이유는 대부분 ‘내가 옳다’, ‘나는 이래야 한다’는 고정된 생각 때문이에요. 무아를 이해하면, 상대의 입장도 더 잘 이해하게 돼요. 집착이 줄어들고, 더 부드럽게 소통할 수 있습니다.
이지혜: 점점 이해돼요! 공(空)과 무아(無我), 둘이 연결되어 있다는 말이 이제는 느낌적으로 와닿아요.
묘광스님: 네. 공은 모든 것이 변한다는 것이고, 무아는 그 중에 ‘나’라는 것도 예외가 아니라는 걸 알려주는 거예요. 둘은 함께 이해해야 진짜 자유가 찾아옵니다.
이지혜: 오늘 이야기도 진짜 깊고 따뜻했어요. 다음 시간엔 금강경에서 말하는 ‘선행의 진짜 의미’에 대해서 이야기해볼까요? ‘착한 일도 집착하면 안 된다’는 말이 너무 인상적이었거든요.
묘광스님: 네, 아주 좋은 주제예요. 다음 시간에는 선행과 보시에 대한 금강경의 가르침을 함께 나눠보죠.
이지혜: 좋아요! 청취자 여러분, 오늘도 마음이 조금 더 가벼워지셨길 바라요. 우리는 다음 시간에 다시 만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