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
1.
법회인유분(法會因由分)1)
1 [역사]이와 같이 들었다. 어느 날, 부처님께서 사위국의 기원정사에 계셨는데, 큰 비구(수행자) 1,250명과 함께 계셨다.
2그때 부처님께서 옷을 입고 발우를 들고 사위성 안으로 들어가서 음식을 받으셨다. 차례대로 탁발하신 후 돌아와 식사를 마치고, 옷과 발우를 정리한 뒤 발을 씻고 자리에 앉으셨다.
3그때 부처님께서는 식사 시간이 되어 옷을 입고 발우(그릇)를 들고 사위성으로 들어가 탁발하셨다. 차례로 음식을 받으신 후 본래 자리로 돌아와 식사를 마치고, 옷과 발우를 정리하고 발을 씻은 뒤 자리에 앉으셨다.
2.
선현기청분(善現起請分)
1 [수행]그때 장로 수보리가 많은 사람들 가운데 자리에서 일어나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오른쪽 무릎을 땅에 꿇고, 두 손을 모아 공손히 여쭈었다.
2 [진리]“정말 귀한 일입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보살님들을 잘 보살피고 잘 가르치십니다. 그런데 부처님의 가르침을 따르려는 남자와 여자들은 어떻게 살아야 하고, 마음을 어떻게 다스려야 할까요?”
3 [예언]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잘 물었다, 수보리야! 너의 말처럼 여래는 보살님들을 잘 보살피고 가르친다. 잘 들어라. 내가 너에게 설명하겠다. 부처님 마음을 내는 사람은 이렇게 살아야 하고 이렇게 마음을 다스려야 한다.” 수보리는 “예, 세존이시여! 듣기를 원합니다.”라고 대답하였다.
3.
대승정종분(大乘正宗分)
1 [자비]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보살은 마음을 이렇게 다스려야 한다. 세상 모든 생명 있는 존재들을 완전한 열반으로 이끌어야 한다.”
2 [진리]“이렇게 셀 수 없이 많은 존재들을 열반에 이르게 해도, 사실 열반에 도달한 존재는 없다. 왜냐하면, 보살은 나, 사람, 생명, 오래 삶 같은 생각에 집착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런 생각이 있으면 진짜 보살이 아니다.”
4.
묘행무주분(妙行無住分)
1 [수행]“또한, 수보리야! 보살은 어떤 것에도 집착하지 않고 보시해야 한다. 눈에 보이는 것, 소리, 냄새, 맛, 감촉, 생각에도 집착하지 말아야 한다.”
2“보살은 이렇게 집착하지 않고 베풀어야 한다. 왜냐하면, 집착하지 않고 베풀면 그 복은 상상할 수 없을 만큼 크기 때문이다. 동쪽 하늘이 셀 수 있겠느냐?” 수보리가 대답했다.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3“수보리야! 남쪽, 서쪽, 북쪽, 위쪽, 아래쪽 하늘도 셀 수 없지 않느냐?” 수보리가 대답했다.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4“보살이 집착하지 않고 베푸는 것은 이처럼 복이 크다. 그러므로 보살은 배운 대로 살아야 한다.”
5.
여리실견분(如理實見分)
1 [진리]“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몸의 생김새로 여래를 볼 수 있겠느냐?” 수보리가 대답했다.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몸으로는 여래를 볼 수 없습니다. 여래께서 말씀하신 몸은 진짜 몸이 아닙니다.”
2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모든 모양은 거짓된 것이다. 모든 모양이 모양이 아니라는 것을 알아야 진짜 여래를 볼 수 있다.”
6.
정신희유분(正信希有分)
1 [예언]수보리가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어떤 사람들이 이런 가르침을 듣고 정말로 믿음을 가질 수 있을까요?”
2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렇게 말하지 말아라. 부처님이 열반하신 뒤 오백 년 후에도 계율을 지키고 선행을 쌓은 이들이 이 가르침을 믿게 될 것이다. 그들은 한두 부처님이 아닌 셀 수 없는 많은 부처님들 앞에서 선한 씨앗을 심은 이들이다.”
3 [진리]“그런 사람들은 자아나 사람, 생명, 삶에 대한 집착이 없다. 있는 그대로 보고 마음에 모양을 붙잡지 않는다.”
4“어떤 법에 집착하면 자아나 사람에 집착하는 것이며, 법이 아닌 것에 집착해도 마찬가지다. 그래서 법도 버리고 비법도 버려야 한다. 그래서 내가 말하길 ‘내가 전한 법은 뗏목과 같다’고 하였다. 법도 버려야 하는데, 하물며 법이 아닌 것들은 더더욱 버려야 하지 않겠느냐?”
7.
무득무설분(無得無說分)
1 [진리]“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는 깨달음을 얻은 것인가? 여래가 어떤 법을 말한 적이 있는가?”
2수보리가 대답했다. “제가 이해하기로는 여래께서는 정해진 어떤 법도 말씀하신 적이 없습니다. 왜냐하면 여래의 가르침은 붙잡을 수도 없고 말로 표현할 수도 없기 때문입니다. 모든 성자들은 말로 할 수 없는 가르침을 통해 차이를 드러냅니다.”
8.
의법출생분(依法出生分)
1 [수행]“수보리야, 만약 어떤 사람이 온 세상의 보물로 가득 채워서 베푼다면, 그 복은 얼마나 클까?”
2수보리가 대답했다. “아주 많을 것입니다, 세존이시여. 하지만 그 복은 본래 복의 성질이 아니라서 진정한 복이 아닙니다. 그래서 여래께서 ‘복이 많다’고 말씀하신 것입니다.”
3“그러나 이 경의 네 구절이라도 외우고 남에게 가르친다면 그 복이 더 크다. 왜냐하면 모든 부처님과 부처님의 깨달음은 이 경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이다. ‘부처님의 가르침’이란 것도 결국은 이름일 뿐 진정한 실체는 아니다.”
9.
일상무상분(一相無相分)
1 [진리]“수보리야, 어떤 사람이 ‘나는 수다원과를 얻었다’고 생각할 수 있을까?”
2수보리가 대답했다.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수다원은 흐름에 들어갔다는 의미지만, 사실 어떤 감각이나 생각에도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3“그렇다면 사다함은 ‘나는 한 번 다시 태어날 것이다’라고 생각할까?”
4“아닙니다. 사다함은 한 번 더 태어난다는 의미지만, 실제로는 오고 감이 없기 때문에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5“아나함은 ‘나는 다시 태어나지 않을 것이다’라고 생각할까?”
6“그렇지 않습니다. 아나함은 돌아오지 않는다는 뜻이지만, 실제로는 오는 것도 없기 때문에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7“아라한은 ‘나는 깨달음을 얻었다’고 생각할까?”
8“아닙니다. 그런 생각을 하는 순간 ‘나’라는 생각에 빠지게 되기 때문입니다.”
9“세존께서 제가 논쟁이 없는 삼매에 들어 가장 뛰어난 아라한이라 하셨지만, 저는 ‘내가 아라한이다’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렇게 생각했다면 여래께서 저를 조용히 머무는 수행자라 하지 않으셨을 것입니다.”
10.
장엄정토분(莊嚴淨土分)
1 [역사]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수보리야, 내가 옛날 연등불 부처님 앞에서 어떤 가르침을 얻은 적이 있느냐?” 수보리가 대답했다. “없습니다. 어떤 것도 얻은 바가 없습니다.”
2 [진리]“수보리야, 보살은 부처님의 세계를 장엄하게 꾸미는가?”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장엄하게 한다는 생각 자체가 이미 장엄이 아닙니다.”
3“그러므로 보살은 맑은 마음을 내야 한다. 눈에 보이는 것, 소리, 냄새, 맛, 감촉, 생각 등 어디에도 마음을 머물게 하지 말고, 집착하지 않은 채 마음을 내야 한다.”
4“수보리야, 어떤 사람의 몸이 수미산만큼 크다면, 그것이 큰 몸이라고 생각하느냐?” 수보리가 대답했다. “그렇습니다. 하지만 부처님께서 말씀하시길 진짜 몸은 모양이 없는 것이라 하셨습니다.”
11.
무위복승분(無爲福勝分)
1 [수행]“수보리야, 갠지스 강에 있는 모래 수만큼 강이 있다면, 그 모래는 얼마나 많겠느냐?”
2수보리가 대답했다. “아주 많습니다, 세존이시여! 강만으로도 셀 수 없는데, 그 모래야 더 말할 나위 없습니다.”
3“그렇다면 어떤 이가 그 많은 세계에 보물을 가득 채워서 베푼다면, 복이 많겠느냐?”
4“아주 많을 것입니다, 세존이시여.”
5“하지만 이 경에서 네 글귀라도 외우고 남에게 전한 사람은 그보다 더 큰 복을 받는다.”
12.
존중정교분(尊重正敎分)
1 [수행]“수보리야, 이 경을 전하고 읽는 곳은 마치 부처님의 사리탑과 같아서 하늘과 인간 모두가 공경해야 한다. 완전히 외우고 실천하는 사람은 가장 소중한 가르침을 성취한 이다. 그곳은 부처님이나 고귀한 제자가 있는 것과 같다.”
13.
여법수지분(如法受持分)
1 [역사]수보리가 물었다. “세존이시여, 이 경의 이름은 무엇이며, 어떻게 받들어야 합니까?”
2 [진리]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이 경의 이름은 ‘금강반야바라밀경’이라 하여라. 왜냐하면 지혜의 가르침이란 이름은 진정한 지혜가 아니며, 그 이름조차도 버려야 하기 때문이다.”
3“수보리야, 여래가 무언가를 말했는가?” 수보리가 대답했다. “세존이시여, 여래는 말한 바가 없습니다.”
4“수보리야, 이 세계의 먼지처럼 많은 수가 많다고 생각하느냐?” 수보리: “매우 많습니다, 세존이시여.”
5“하지만 그 먼지는 진짜 먼지가 아니며, 이 세계 또한 진정한 세계가 아니다. 여래를 32가지 특징으로 볼 수 있을까?” “아닙니다. 그것은 형상이 아닙니다. 그것을 진짜라고 생각하면 안 됩니다.”
6 [수행]“갠지스 강 모래만큼의 몸을 바쳐도 이 경의 네 글귀를 외워 남에게 전한 복이 훨씬 크다.”
14.
이상적멸분(離相寂滅分)
1 [진리]수보리가 이 경을 듣고 깊은 감동을 받으며 울었다. “세존이시여, 저는 이런 깊은 가르침은 처음 듣습니다.”
2“이 경을 듣고 맑은 믿음을 가진 사람은 진짜 진리를 알게 됩니다. 이 진리는 형상이 아니므로 ‘진짜 형상’이라 부르는 것입니다.”
3“미래에 이 경을 듣고 믿고 받아들이는 사람은 정말 귀한 이입니다. 자아나 사람, 생명, 삶에 대한 집착이 없기 때문입니다.”
4부처님: “맞다. 이 경을 듣고 두려워하지 않는 사람은 매우 드문 존재이다. ‘최고의 진리’라 불리는 것조차 진짜는 아니며 이름일 뿐이다.”
5“옛날에 내가 왕에게 몸을 잘렸을 때도, 자아나 사람에 대한 생각이 없었기 때문에 미워하지 않았다. 그때 나는 오랜 세월 참을성을 닦은 수행자였다.”
6 [수행]“그래서 보살은 어떤 것에도 집착하지 않고, 깨달음을 향한 마음을 내야 한다. 마음이 무엇에 머문다면 그건 참된 마음이 아니다.”
7“보살은 모든 존재를 위해 베풀어야 하며, 모든 형상은 형상이 아닌 것임을 알아야 한다.”
8 [진리]“여래는 거짓 없이 진실만을 말한다. 여래가 얻은 진리는 참된 것도, 거짓된 것도 아니다.”
9 [수행]“보살이 어떤 법에도 집착하지 않고 베푼다면, 빛 속에서 세상의 모습을 다 볼 수 있는 사람과 같다.”
10 [예언]“미래에 이 경을 받아들이고 외우는 사람은 부처님의 지혜로 완전히 알아볼 수 있으며, 무한한 복을 받게 된다.”
15.
지경공덕분(持經功德分)
1 [수행]“어떤 이가 수많은 몸을 바쳐 베풀더라도, 이 경을 믿는 사람이 받는 복이 더 크다. 더구나 이 경을 쓰고 외우고 남에게 전한다면 더욱 크다.”
2“이 경은 헤아릴 수 없는 복을 지닌 경전이다. 위대한 수행자들을 위해 전해지는 것이다.”
3“이 경을 전하고 외우는 사람은 부처님의 큰 깨달음을 짊어진 사람이다. 작은 가르침에 집착하는 자는 이 경을 이해할 수 없다.”
4 [의식]“이 경이 있는 곳은 어디든 신들이 공경하고 향과 꽃으로 예배해야 할 탑과 같은 곳이다.”
16.
능정업장분(能淨業障分)
1 [고뇌]“이 경을 외우고 읽는 사람이 다른 사람들에게 무시당한다면, 그것은 과거 죄의 결과이지만 지금 무시당함으로써 그 죄가 사라지고, 깨달음을 얻을 것이다.”
2 [수행]“내가 옛날 수많은 부처님께 공양한 공덕보다, 이 경을 외우고 전하는 사람의 공덕이 더 크다.”
3 [예언]“미래 세상에서 이 경을 읽는 사람의 복은 셀 수 없이 크지만, 내가 다 설명하면 듣는 사람들은 혼란에 빠져 믿지 못할 것이다. 이 경은 그만큼 신비하고 복도 크다.”
17.
구경무아분(究竟無我分)
1 [수행]수보리가 여쭈었다. “깨달음을 이루려는 이는 어떻게 살아야 하며, 마음을 어떻게 다스려야 합니까?”
2부처님: “모든 생명을 열반에 이르게 하겠다고 다짐하지만, 실제로 누가 열반에 이른 것도 아니다. 자아에 집착하면 진짜 보살이 아니다.”
3 [진리]“내가 옛날 연등불 부처님께 배웠을 때도 어떤 가르침을 얻은 것이 아니다.”
4“깨달음은 어떤 것도 얻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연등불 부처님께서 나에게 미래에 석가모니불이 될 것이라고 예언하셨다.”
5“깨달음을 얻었다는 말도 실제로는 아무것도 얻은 것이 아니다.”
6“여래가 얻은 깨달음에는 참됨도 거짓됨도 없다. 그래서 모든 법은 다 부처님의 가르침이라 말한다.”
7“하지만 그 법들도 진짜 법은 아니다. 그래서 법이라고 부른다.”
8수보리: “부처님이 크다고 하신 몸은 실제로는 크지 않기에 ‘큰 몸’이라 합니다.”
9“보살도 마찬가지이다. 많은 중생을 구하겠다 하는 마음조차도 집착이면 진짜 보살이 아니다.”
10“‘부처님 세계를 꾸미겠다’는 생각도 마찬가지로 집착이며, 참된 보살은 ‘나’라는 생각이 없는 자이다.”
18.
일체동관분(一體同觀分)
1 [진리]“수보리야, 여래에게 육안이 있느냐?” “있습니다.”
2“천안이 있느냐?” “있습니다.”
3“지혜의 눈이 있느냐?” “있습니다.”
4“법의 눈이 있느냐?” “있습니다.”
5“부처의 눈이 있느냐?” “있습니다.”
6“갠지스 강의 모래를 여래가 모래라고 하느냐?” “그렇습니다.”
7“그런 갠지스 강만큼 있는 세계의 모래는 많겠느냐?” “매우 많습니다.”
8“모든 존재들의 마음도 여래는 다 알고 있다. 하지만 그 마음들 역시 참된 마음이 아니다. 왜냐하면, 과거·현재·미래의 마음은 붙잡을 수 없기 때문이다.”
19.
법계통화분(法界通化分)
1 [수행]“세상의 보물로 가득한 세계를 베풀면 큰 복이 있겠느냐?” “그렇습니다.”
2“하지만 그 복도 본래 실체가 없기 때문에 여래는 ‘복이 많다’고만 말한다.”
20.
이색리상분(離色離相分)
1 [진리]“부처님을 육체로 볼 수 있느냐?” “아닙니다. 몸으로 본 부처님은 진짜가 아닙니다.”
2“모양으로 부처님을 볼 수 있느냐?” “아닙니다. 모든 모양은 진짜가 아닙니다.”
21.
비설소설분(非說所說分)
1 [진리]“수보리야, 여래가 ‘내가 무언가를 말한다’고 생각한다고 하지 말라. 만일 누군가 ‘부처님이 무언가를 말했다’고 한다면, 그것은 부처님을 비방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진짜 말한 법은 없기 때문이다. 이것이 진정한 설법이다.”
2 [예언]수보리: “세존이시여, 미래에 이 가르침을 듣고 믿음을 가질 이들이 있을까요?”
3 [진리]부처님: “그들은 중생도 아니고, 중생이 아닌 것도 아니다. 왜냐하면 ‘중생’이라는 말도 여래는 실제 존재가 아니라고 하기 때문이다.”
22.
무법가득분(無法可得分)
1 [진리]수보리: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깨달음을 얻으신 것은 아무것도 얻은 것이 아닌가요?”
2“그렇다, 수보리야. 나는 깨달음을 얻으면서도 단 하나의 법도 얻은 것이 없다. 이것이 진정한 깨달음이다.”
23.
정심행선분(淨心行善分)
1 [진리]“이 가르침은 평등하여 높고 낮음이 없다. 자아와 생명에 대한 생각이 없이 선한 일을 실천하면 참된 깨달음을 얻는다. ‘선한 법’이라는 것도 이름일 뿐, 진정한 선함은 아니다.”
24.
복지무비분(福智無比分)
1 [수행]“삼천 대천세계의 수미산 같은 보물들을 바쳐도, 이 경의 네 글귀라도 외우고 남에게 가르치는 복이 훨씬 더 크다.”
25.
화무소화분(化無所化分)
1 [진리]“수보리야, 여래가 ‘중생을 제도한다’는 생각을 하지 않는다고 알아라. 만일 누군가를 제도했다면 여래에게 자아나 생명에 대한 생각이 있다는 것이고, 그것은 여래가 아니다.”
26.
법신비상분(法身非相分)
1 [진리]수보리: “세존이시여, 여래는 32가지 몸의 특징으로 볼 수 있습니까?”
2부처님: “그렇다면 전륜성왕도 여래라고 해야겠구나.”
3수보리: “제가 이해한 바로는, 여래는 32가지 특징으로 볼 수 없습니다.”
4그때 부처님께서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5“색으로 나를 보려 하거나, 소리로 나를 찾으려 하는 이는 / 바른 길을 걷는 자가 아니며 / 진정한 여래를 볼 수 없다.”
27.
무단무멸분(無斷無滅分)
1 [진리]“수보리야, 여래가 외형(모양)으로 깨달음을 얻은 것이라 생각하지 말아라.”
2“또한 ‘깨달음을 얻는 사람은 모든 법이 사라졌다고 말한다’고 생각하지 말아라. 참된 깨달음은 그런 식으로 단절된 법을 말하지 않는다.”
28.
불수불탐문(不受不貪分)
1 [수행]“수보리야, 갠지스강 모래 수만큼의 세계에서 보물을 베푸는 보살보다, ‘모든 법에는 자아가 없다’는 것을 알고 참을성 있는 보살이 더 큰 공덕을 얻는다. 왜냐하면 보살은 복을 집착하지 않기 때문이다.”
2수보리: “세존이시여, 왜 보살은 복을 받지 않습니까?” 부처님: “보살은 복을 탐내지 않기 때문에 받지 않는 것이다.”
29.
위의적정분(威儀寂靜分)
1 [진리]“누군가가 여래가 오고 가고 앉고 눕는다고 말한다면, 그 사람은 여래의 뜻을 모르는 것이다. 여래는 온 것도 아니고 간 것도 없다. 그래서 여래라 한다.”
30.
일합리상분(一合理相分)
1 [진리]“수보리야, 삼천 대천세계를 아주 작은 티끌로 부순다면, 그 수는 많겠느냐?”
2“아주 많습니다, 세존이시여. 하지만 부처님께서는 그 티끌도 진짜 티끌이 아니라고 하십니다.”
3“마찬가지로 이 세계도 진짜 세계가 아니다. 모든 것이 하나의 임시적인 결합일 뿐이다.”
4“이 결합된 현상은 본래 말할 수 없는 것이며, 보통 사람들만 그것에 집착한다.”
31.
지견불생분(知見不生分)
1 [진리]“만약 누군가가 ‘부처님이 나·사람·중생·삶에 대해 말했다’고 한다면, 그는 부처님의 뜻을 모르는 것이다.”
2“왜냐하면 여래는 그것들을 ‘진짜가 아닌 것’이라고 말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진짜가 아니라는 것을 알아야 진짜 의미를 아는 것이다.”
3“깨달음을 이루고자 하는 이는 모든 법을 그와 같이 보고 믿어야 하며, 어떤 형상도 만들지 않아야 한다. 왜냐하면 ‘형상’이란 말도 실제로는 형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32.
응화비진분(應化非眞分)
1 [수행]“수많은 보물로 세상을 채워 베푸는 것보다, 이 경을 읽고 외우고 남에게 전하는 사람이 더 큰 복을 얻는다.”
2“남에게 전할 때는 어떤 모양에도 집착하지 말고, 고요한 마음으로 전해야 한다.”
3 [진리]“모든 존재는 꿈, 환상, 물방울, 그림자, 이슬, 번개처럼 허망한 것임을 알아야 한다.”
4 [의식]이 경을 들은 수보리와 여러 비구, 비구니, 신자들과 하늘, 인간, 아수라들이 크게 기뻐하며 믿고 따랐다.
5금강경의 진언(진실된 주문)이 이어진다.
6(진언): 나모 바가바띠, 바라야, 바라미따예, 옴 이리띠, 이실리, 술루타 비샤야, 사바하.
7 [역사](마무리 문구) 무술년, 고려국 대장도감이 임금님의 명을 받아 새겼다.